본문 바로가기
부의 추월차선 5단계(나는 몇단계?)/1단계- Reset

MBTI 무료성격유형검사-부자되는 유형은?

by 마음의연금술 2020. 3. 25.
728x90
반응형

MBTI란 무엇일까?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 개발된 일종의 성격유형 테스트다. 

Myers-Briggs Type Indicator를 줄여서 MBTI라고도 부른다. 

캐서린 쿡 브리그스(Katharine C. Briggs)와 그의 딸 이저벨 브리그스 마이어스(Isabel B. Myers)가 카를 융의 성격 유형 이론을 근거로 개발한 성격유형 선호지표이다.


현재 성격 검사 중 가장 대중적으로 알려져 있다. 작게는 잡지 등 흥미 위주의 성격 테스트로, 크게는 기업체 등 진로 선택을 위한 인성 검사로 다양하게 쓰인다.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는 C.G.Jung의 심리유형론을 근거로 하여 Katharine Cook Briggs와 Isabel Briggs Myers가 보다 쉽고 일상생활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자기보고식 성격유형지표이다.

융의 심리유형론은 인간행동이 그 다양성으로 인해 종잡을 수 없는 것 같이 보여도, 사실은 아주 질서정연하고 일관된 경향이 있다는 데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인간행동의 다양성은 개인이 인식(Perception)하고 

판단(Judgement)하는 특징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MBTI는 인식과 판단에 대한 융의 심리적 기능이론, 그리고 인식과 판단의 향방을 결정짓는 융의 태도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제작되었다. 

또한 개인이 쉽게 응답할 수 있는 자기보고(self report) 문항을 통해 인식하고 판단할 때의 각자 선호하는 경향을 찾고, 이러한 선호경향들이 하나하나 또는 여러 개가 합쳐져서 인간의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여 실생활에 응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심리검사이다.


비즈니스 업계에서 유명하지만 MBTI는 상당한 과학적(psychometric) 결함을 보여준다. 

이를 테면 낮은 유효성(예: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측정하지 않음, 

예측 동력이 없음 또는 일반화할 수 있는 품목이 없음),

낮은 신뢰성(다른 상황에 처한 동일 인물에 다른 결과를 보여줌), 

비독립적인 항목 측정(일부 이분법적 특성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음), 포괄적이지 않은 점 등을 포함한다.













칼 융은 어떤 사람인가?

칼융


스위스의 심리학자이자 정신과 의사. Kesswil 태생.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함께 심리학, 정신분석학의 큰 줄기를 만든 학자이다. 

프로이트의 수제자라 불릴 정도로 많은 영향을 받았지만, 

결국엔 아들러의 사상을 받아들여 자신만의 독자적인 이론을 창시해냈다. 

콤플렉스 심리학 혹은 분석심리학의 선구자.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인간의 영혼(정신)이란 각각 대극, 대립적인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요소들은 대립이 아니라 조화를 이룬다는 이야기이다. 

건전한 정신이란 조화와 균형을 이룬 상태의 영혼이라는 말. 

또한 집단무의식, 콤플렉스, 그림자, 페르소나, 아니마와 아니무스 등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신경증 환자가 그 나름의 법칙을 갖고 있다는 통찰을 입증하기 위해, 융 자신이 치료경험이나 그 당시 심리학에서 무관한 신화, 종교, 연금술, 신비주의 등 여러 분야를 끌고 와서 이론을 만들었기 때문에 문제의 여지를 보인다는 주장이 있다. 신비주의에 탐닉한 이유는 알 수 없다. 사생활이 다소 문란하고, 

약물에도 손을 댔던 것을 생각하면 정신적으로 불안정했었을 수도 있다.


융은 동양사상에 대응하는 서구사상의 원류로 연금술을 재발견하였다. 

연금술을 물질의 변화가 아닌 영혼의 연성으로 해석하였으며, 

상징들이 가진 의미를 추적하고 해석하였다. 

이러한 상징들에 대한 해석은 꿈이나 환자에게서 채집할 수 있는 인간 무의식에서 나타나는 상징들과 연결되어 사례 해석의 뒷받침이 되었다.




칼융에 대해 더 알아보고싶다면 아래를 참고하세요.


https://esteem0110.tistory.com/27?category=845491














MBTI검사방


MBTI검사


https://www.16personalities.com/ko


싸이트 들어가시면 바로 검사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검사로 결과도 바로 나와서 금방 할 수 있어요.
















MBTI 성격 유


MBTI성격유형

크게 네가지로 분류됩니다.

분석형, 외교형, 관리자형, 탐험가형



분석형은 다시 

용의주도한 전략가
논리적인 사색가
대담한 통솔자
뜨거운 논쟁을 즐기는 변론가


외교형

선의의 옹호자
열정적인 중재자
정의로운 사회운동가
재기발랄한 활동가


관리자형

청렴결백한 논리주의자
용감한 수호자
엄격한 관리자
사교적인 외교관


탐험가형

만능 재주꾼
호기심 많은 예술가
모험을 즐기는 사업가
자유로운 영혼의 연예인




MBTI성격유형



이중 ENTJ 지도자형, 소득 가장 높다고 합니다.







ENTJ유형

결과는 이런식으로 나옵니다.

어떤 유형이신가요?

저는 선의의 옹호자 INFJ라고 나오네요....ㅎ












KBS뉴스


















KBS뉴스


8개 선호 경향 가운데 가장 높은 소득을 기록한 것은 사고(thinking) 선호 경향이었다. 

사고적인 성향이 강한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5만 210달러를 벌어 감정적 성향이 강한 사람보다 

일 년에 약 8,400달러, 960만 원 정도 더 많은 돈을 버는 것으로 조사됐다.


외향적인 사람과 내향적인 사람들 사이 소득 격차도 컸다. 

외향적인 사람의 평균 소득은 1년에 5만 34달러인 반면 

내향적인 사람은 4만 687달러로 9,347달러, 약 천50만 원의 소득 차이가 벌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트루이티는 이런 성격 특성에 따른 소득 차이는 

다른 심리학적인 조사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MBTI검사

내향적인 사람은 어떻게 하나?


하지만 내향적인 성향이 강한 사람이라도 이런 조사 결과에 실망할 필요는 없다. 성격 특성에 따른 소득 격차는 통계적 특성일 뿐 성격에 의해 모든 것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실제로 트루이티는 통계적으로 가장 소득이 적은 잔 다르크 유형의 사람들 가운데 억대 연봉을 받는 사람들도 많았다고 밝혔다. 단지 통계를 위해 평균을 내다보니 일반화의 오류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인정했다.


그리고 트루이티의 조사는 성격 유형과 소득과의 관계만을 살펴본 것이다. 그 사람의 직업, 가정, 친구, 사회생활 등 인생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다른 많은 요인과 연관된 분석이 빠져있기 때문에 이것을 행복이나 삶의 질을 측정하는 척도로 받아들이는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된다.


또 미국과 우리나라는 조직이나 사회에서 개인에 대한 평가 기준이 다르고 소득을 결정하는 요인들도 차이가 있다. 따라서 한 번 정도 읽어보고 나에게 도움이 될 부분이 있다면 어떻게 참고할 수 있을지 생각하는 기회로 받아들이는 것이 좋을 듯하다.



참고 news.kbs.co.kr/news




결과는 또 달라질 수 있습니다.

너무 맹신하지는 마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꾸욱~ 눌러주세요^^

모든 링크는 새창보기를 지원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