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형심리란?
Graphics Psychology Type Inddicator
내담자의 심리를 진단하고 분석하는 투사적 검사도구
히포크라테스의 사체액설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바슐라르의 신 기질론을 바탕으로
내담자의 기질적 특성과 성격적 특성, 그리고 현재 심리상태(이상심리)등을 파악하여
내담자를 이해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자아실현을 돕는 심리검사도구이다.
도형심리를 배우면서
검사가 너무 쉽고 재밌고 너무 잘 맞아서 빠져들었습니다.
미래를 예견하는 점술같은종류는 거부감이 들고 싫습니다.
나의 미래는 내가 개척해 가고 싶습니다.
하지만
나의 기질을 알고 나를 알아가는 메타인지는 정말 중요한 것이기에
도형심리를 배우고 있습니다.
동양철학의 흐름
동양철학은 유한한 인간이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를 모색한 윤리실천적 차원과
삶과 존재의 근거는 무엇인가라는 형이상학적 차원이 있다.
유학은 특히 자기수양과 학문을 통한 기질의 변화로 성인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
인간으로서의 유한성을 인정하되
인간은 타고난 본성만큼 후천적 습관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고 보기에
수양론이 발달하게 되었다.
동양철학에서는 인간의 운명을 결정하는 3가지가 있다고 보았는데,
사주학과 관상학(인상학)과 성명학(명리학)이다.
서양철학의 흐름
서양철학은 인간의 운명은 사주에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기질이 다르다고 보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의 공통점은
인간은 외부에 의해서 우리의 운명이 결정된다고 하는 결정론에 빠져있다.
1. 히포크라테스(Hipporcrates)
서양에서는 4세기에 히포크라테스에 의해서
'인간이 어떤 존재인가?'에 대해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인간의 정신적인 문제를 연구하는 것을 죄악시하였다.
히포크라테스는 환자를 치료하면서
똑같은 처방을 해도 사람마다 다르게 반응하는 것을 보고
우주의 4가지 원소(공기, 불, 물, 흙)에 대응하는
인체의 4가지의 중요 체액(혈액, 황담 즙, 점액, 흑담즙)을 발견하였다.
그는 개인에 따라 체액의 배합에 있어서
불균형이 있을 수 있고,
어느 한 체액의 비중이 커 짐으로 인해
개인의 '성격 특징'이 결정된다고 주장하였다.
이것이 바로 인류 최초의 성격이론이자
성격 분류체계인 4 체질론(4 체액설)이다.
4 체질론 인간의 몸속에 흐르는 4가지 액체(체액)의 결과로 봄 |
|||
체 액 | 특성이나 기질 | ||
혈 액 | 다혈질(낙관, 희망) | 다정다감, 명랑 | 경혈(감정에 관한 것) |
황담즙 | 담즙질(과민성) | 혈기, 동작민첩 | 온혈(행위에 관한 것) |
점 액 | 점액질(냉담) | 동작이 느긋함 | 냉혈(행위에 관한 것) |
흑담즙 | 우울질(비애) | 우울, 슬퍼함 | 중혈(감정에 관한 것) |
-심리학적인 문제를 의학적으로 접근 -같은 약의 처방이 사람마다 효능이 다르게 나타나자 사람마다 기질의 차이가 있다고 보고 4가지로 구분하여 처방 -4가지 체액이 조화를 이루었을 때를 '에우크라지에(eukrasie)'라고 불렀고, 조화가 깨졌을 경우를 '디스크라지에(dyskrasie)'라고 하여 이때에 병이 생긴다고 봄 |
2. 갈레누스(Claudios Galenos)-갈렌
로마의 의사이자 철학자인 갈렌은
히포크라테스의 4 체액설을 4대 기질 이론으로 수정 발전시켰다.
그는 개인의 성격 특징을 다혈질, 담즙질, 점액질, 우울질로
새롭게 분류하고 그 체계에 따라 사람들의 일상행동을
면밀히 관찰하고 그 특징을 구체적으로 기술함으로써
오늘날의 '유형'이란 개념을 최초로 정립하였다.
유형 체질론 |
|||||
체 액 | 기 질 | 원 소 | 기 후 | 계 절 | 연 령 |
혈 액 | 다혈질 | 공기 | 습 온 | 봄 | 아동 |
황담즙 | 담즙질 | 불 | 건 온 | 여름 | 청년 |
점 액 | 점액질 | 물 | 습 냉 | 가을 | 장년 |
흑담즙 | 우울질 | 흙 | 건 냉 | 겨울 | 노년 |
-4 체액설을 4대 기질 이론으로 수정 발전시킴 -개인의 성격 특징을 다혈질, 담즙질, 점액질, 우울질로 분류하여 사람들의 일상행동을 면밀히 관찰하고 그 특징을 구체적으로 기술함으로써 오늘날의 유형이란 개념을 최초로 도입 -4가지 기질의 장단점에 대해 자세한 목록 작성 |
3. 칸트(Immanuel Kant)
갈렌의 4대 기질론은 독일의 철학자 칸트에 의해서 재조명을 받게 된다.
그는 1798년 '인간학'(Anthropologie)이라는 책에서
히포크라테스의 4가지 기질을 감성(feeling)과 활동성(activity)의
두 가지 차원에서 재조직하였다.
즉 우울한 사람은 연악한 감정을, 다혈질은 강한 감정을 가지고 있고,
점액질은 미약한 활동성을, 담즙질은 강한 활동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또한 인간의 기질이란 혈액의 특성에 기인하는 심리적 경향성이라고 보았다.
그는 혈액 순환 속도와 혈압은 개인의 흥분 속도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경정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점에 근거하여 칸트는 4 기질론을 재해석하였다.
그는 모든 사람은 4가지 기질 중 어느 한 범주로 밖에 분류될 수 없으며
그 위치도 변동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4. 팀 라헤이(Tim Lahaye)
기질론은 19세기에 들어와 심리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분트(Wilhelm Wundt)가
라이프치히 대학에 심리학 연구소인 정신 물리실험실을 만든 후
그곳에서 인간에 대한 기질, 인격, 성격, 활동성을
여러 각도로 조사하여 분석하여 심리적 기초로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20세기 후반에는 순수 심리학이 응용 심리학의 발달 계기가 되었으며
정신의학, 상담심리 등으로 발달하게 되었다.
팀 라헤이는 히포크라테스의 기질론을 기초로 하여
기독교적인 관점에서 4기질의 구체적인 특징(장점, 단점), 4기질의 융합 형태와 특징,
기질별 직업 형태, 기질과 은사를 연결하여 접목하였다.
그는 20명의 제자들과 함께 '라헤이 기질 분석' 테스트를 실시하였는데
인간은 누구나 한 가지 기질만으로 형성되기보다는
여러 가지 기질이 복합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혼재되어 있는 비율에 따라 다소 다른 유형의 성격으로 분류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1차 기질에서 4차 기질까지 나누었고,
이것을 더 세분화해서 12가지로 유형화해서
그들의 가치과, 사회생활, 성 생활 등 각종 습관들을
분석하여 발표하였다.
그는 성경의 인물들을 깊이 연구한 결과
다혈질은 베드로,
우울질은 모세,
담즙질은 다윗,
점액질은 아브라함
이라는 것을 성경에서 찾아내어 인간의 기질론과 심리론과
기독교 신앙을 일치시켰다.
팀 라헤이의 기질론 |
그 후 도형 연구가들이 '이것을 좀 더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를 생각하면서
찾아낸 것이 도형심리검사다.
자신이 살아오면서 환경의 영향이나 사람으로 인하여
자신의 몸이나 마음에 상처 받아 잠재해 있는 쓴 뿌리와
마음의 견고한 진을 도형으로 그려서 나타내는 마음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나를 찾는 여행(메타인지) > 심리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려움의 다섯가지 유형 (0) | 2020.06.02 |
---|---|
심리테스트 - 두려움 유형알아보기 (0) | 2020.06.01 |
Surface pro3-서피스 프로3 온라인 최저가로 구매 (0) | 2019.12.01 |
기질심리 상담사-네모 실천형 (0) | 2019.11.06 |
다지인의 모든것 크몽 (0) | 2019.09.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