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를 찾는 여행(메타인지)/심리상담사

심리상담사 - 심리검사와 상담

by 마음의연금술 2021. 10. 20.
728x90
반응형


목차

1. 심리검사에 대한 이해
2. 심리검사의 종류, 역사, 활용

심리검사란 무엇인가?

*개인의 종합적인 정보를 알아내는 과정의 검사이다.
성격, 지능, 적성 등 인간의 다양한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다양한 검사 도구들 사용하여 양적, 질적인 평가를 하는 일련의 절차이다.
*심리평가는 검사의 결과가 중요한 해석의 근거이지만 맹목적으로 검사결과로 해석하기 보다는 행동관찰과 면담자료를 참고하여 심리검사를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리평가는 그 과정에서 심리학, 정신병리학, 그리고 임상적 경험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심리검사의 필요성

- 현대인와 심리검사

현대인들은 상담, 학교, 직장, 복지 등에서 심리검사를 받아본 사람들이 많아졌고 일상화되고 보편화되었다. 시대적으로 복잡한 인간의 심리나 행동을 이해하고 개인에 맞는 효율적인 역할을 하려는 요구가 많아졌다.
- 개인의 고유한 특성과 인간 행동의 이해와 예측을 하고자 할 때, 인간의 내적, 심리적 과정을 타당하게 측정하는 심리검사가 필요하다.

심리검사의 활용 및 해석상의 주의점

- 심리검사는 모호하고 다양한 추상적인 개념을 측정할 때, 그 결과가 실제의 모습과 일치하는지 판단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
- 개인의 심리적 특성은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변할 수 있기에 심리검사의 해석을 고정적이고 단정적으로 해석하면 오판이 일어날 수 있다.
낙인 찍지 말아야 한다.
심리검사에 대한 피검자의 동의를 구해야 한다. 심리검사 정보를 부적절하게 사용될 때 개인의 사생활 침해가 될 수 있다.
- 상담에서의 심리검사의 이점
내담자의 자기 탐색 촉진. 적절한 상담기법의 선정. 상담과정과 종결에서 변화의 정도를 평가하는 척도가 된다.
심리검사 결과와 행동관찰, 면담에서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내담자가 자신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어떤 검사를 실시해야 하는가?

- 풀밧데리, 종합심리검사, Full battery 검사는 신경계, 성격적, 지적요소를 측정하며 각기 다른 특정 심리기능을 측정하여 종합적으로 해석한다.
- 지능검사(Weshsler), 로르샤흐검사(Rorschach), SCT, BGT, KFD, MMPI 검사를 통해 성격, 지적수준, 사고방식, 상황에 대한 대처방식, 사회성, 대인관계, 자기지각, 가족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 어떤 검사도 인간의 모든 영역을 이해하거나 평가 할 수 있는 영역이 넓지 못하기에 중요한 몇가지의 검사로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심리검사의 정보 출처

* 심리검사의 4가지 출처: J. Allison(1968):

1) 검사점수

주로 양적 측정을 일차적인 목표로 하는 객관적 검사나 자기보고식 질문지 검사

2) 반응의 내용과 주제

주로 투사적 검사에서의 정보 출처이다. 피검자의 ‘실제 반응이 무엇이냐’, 개인 고유 특성과 구조적 역동을 고려하여 서로의 연관성과 전체적인 성격구조 안에 통합적으로 보아야 함.

3) 검사반응에 대한 태도(style of verbalization)

풍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4) 검사자와 피검사자간의 대인관계(interpersonal relationship)

검사자 개인의 특성과 피검자 어떤 관계를 맺는가? 피검자의 관찰적 정보

실험심리학의 영향

* 19세기 후반: 실증과학. 정신적 능력을 정신물리학의 접근을 통해 객관적으로 측정
- F.Galton(1822-1911)
지능의 유전 가능성과 능력의 측정에 관심, 개인차 연구의 선구자(진화론에 바탕을 둠) 평정척도(rating scale), 자유연상기법 사용 상관계수: 지적능력의 개인차에 대한 자료분석을 위하여 통계적인 기법을 발달시킴
- Cattell(1860-1944)
정신검사(mental test)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
감각과 운동반응 능력에 관한 10가지 항목으로 구성된 지능검사 제안. 인간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개인차의 심리검사를 강조.
지능, 성격의 구성요소를 밝힘. 최초의 심리검사 제작회사 설립
- Wundt
마음의 활동을 물리학적 기법으로 측정.
측정대상: 인간 내면의 경험, 감각경험. 심리측정학의 출발. 라이프찌히 실험실에서 감각과 반응의 시간 실험.

심리검사의 종류

1) 객관적 검사(표준화된 검사)
문항과 채점과정이 표준화되어 있고 해석의 규준이 제시되는 검사. 검사에서 평가하고자 하는 특정영역에 대한 초점화 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구조화된 검사.
ex) 웩슬러 지능검사, MMPI, MBTI, 직업흥미검사, 적성검사
2) 투사적 검사(비표준화 검사)
검사자극이 불분명하고 모호하며 검사 지시 방법이 제한되어 있지 않다. 개인의 반응이 독특하고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다. 방어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어렵다.
신뢰도와 타당도가 객관적으로 검증되기 어렵다.
ex) Rorschach, TAT, HTP, BGT, SCT.    

웩슬러 성인 지능검사

- 전체 IQ 테스트는 14개의 테스트로 나뉘며, 7가지 말하기와 7가지 수행 능력을 구성하고 있다. 웩슬러 검사는 다음과 같이 3가지 점수를 제공한다.
말하기 지능지수(VIQ)
수행 능력 지능지수(PIQ)
총 점수를 기반으로 한 완전한 규모의 IQ점수
- 미국판 WAIS-R은 1981년에 16세에서 74세 나이에 걸쳐, 1,880개의 항목에서 표준화되었으며 9개의 다른 연령대 그룹으로 쪼개진다. 신뢰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최신판은 2008년의 WAIS-IV이며 미국판의 경우 16세에서 90세 나이에 걸쳐서 확대되도록 개발되었다.
한편 WAIS-V가 2019년 이후에 표준으로 새로 공개되었다.

다면적 인성검사

* 1940년대 미국 미네소타 대학 심리학자인 Stark Hathaway와 정신과 의사인 Jovian Mckinley가 제작
* 다면적: 여러가지 정신과적 증상들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비정상적인 행동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제작 상담&정신치료에 기여
* 투사법적 함축을 띤 550개의 문항을 포함, 16문항이 중복되어 566문항으로 구성
* 검사태도를 측정하는 4가지 타당척도, 비정상 행동의 종류를 측정하는 10가지 임상척도로 구성 문항선정과 척도구성은 철저한 경험적 접근을 통하여 만들어짐

융의 ‘심리유형론’


칼 구스타브 융(carl Gustav Jung)
* MBTI는 스위스 정신과의사였던 융의 심리유형론에 이론적 기반을 두고 있음
* 융은 인간행동은 임의적으로 보이나 사실은 사람들이 정신능력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선호하는 방식의 차이에서 비록된 결과라고 보았음
- 각 사람은 선천적인 선호가 있으며 좋다 나쁘다의 가치가 부여되는 것이 아니다. 존재가 존재의 개별화가 되는 것, 즉 가장 자기다운 자기가 되는 것이며 자신을 찾아가는 것이다.
- 각 사람은 4가지의 선호 지표를 갖고 16가지 성격유형 중의 한가지 유형의 특성을 가진다.

MBTI 점수의 의미


* MBTI를 만든 Myers와 Briggs는 점수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해석하고 있다.
1~9 약한 선호도 (Slight)
11~19 중간 정도의 선호도 (Modest)
21~39 강한 선호도 (Clear)
F(감정) 지표는 21~29일 때 강한 선호도
41~ 아주 뚜렷한 선호도 (Very Clear)
F(감정) 지표는 31 이상일 때 아주 강한 호도에 해당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