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차
- 상담사란?
*심리상담사가 하는 일
사고, 행동, 성격, 가치관, 정서적 증상 등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거나 고통, 인간관계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
*심리 상담사의 전문화 과정
상담 전문지식을 습득하고 임상실습과 수련 과정을 거쳐 실무능력을 갖춘다.
대학에서 심리학 교육학, 아동 관련 전공자나 관련 학과를 전공 하지 않아도 상담관련 대학원에 진학할 수 있으며 전문가의 지도와 지속적인 훈련으로 임상 경험이 쌓아야 한다.
- 상담을 꺼리는 이유?
*스스로 해결하려고 한다.
*나의 상황을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부끄럽다. 수치스럽고 창피하다. 치부를 드러내는 것 같다.
*사회적 인식, 두려움, 문제 있는 사람으로 낙인 찍힐 것 같다.
- 상담의 효과
매우 효과적이다.
- 상담의 목표
*상담의 결과: 성취된 목표들
행동의 변화, 문제에 대한 예방, 문제 해결 및 증상제거증상 제거,유용한 선택과 의사결정, 효율적인 삶
*상담 시간에 따른 목표
단기, 중기, 장기 상담에 따라 상담목표를 정함.
주 호소문제, 심층적 분석, 병리적인 사례에 따라 다름
*상담기법에 따른 목표
인지, 정서, 행동적 목표. 사고의 변화, 감정 조절, 행동의 변화 등.
- 상담의 특성
*자격 있는 상담자가 제공하는 전문적 서비스
*상담자-내담자 상호 양방적 관계에
- 심리상담사의 진로 영역
*Clinical psychologist: 심리상담 전문가, 신경 심리학, 인지 심리학, 법의학 심리학, 임상심리학, counselor, 카운슬러(결혼, 가족관계, 학교생활 등 고민상담).
*Social worker: 학교, 병원, 아동 복지 단체, 사회복지 단체.
*Human resource manager: 고용 및 해고, 작업장에서의 행동 문제 해결, 갈등 중재, 노사 문제 등.
*Maketing manager: 마케팅 매니저, 사람들의 사고 방식 이해, 브랜드 인지도 및 판매 촉진.
- 심리상담사의 역량
*상담자의 전문적 자질
다양한 상담이론을 활용하고 상담의 기법을 적용하며, 심리사회적 문화의 차이를 이해하는 역량과 상담의 윤리를 지키는 등의 전문성이요구됨.
*상담자의 인간적 자질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와 수용하는 마음과 상담에 대한 열의가 있다. 인간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진솔하고 중립적 가치를 갖추어야 함.
*인간에 대한 이해
다양한 환경 속에 살고 있는 인간의 내적 심리와 외적인 자극에 반응하는 인간의 행동을 이해할 수 있다.
*상담 관계를형성하는 힘
안전하고 신뢰하는 상담관계상담 관계,라포를 형성한다.
*내담자의 변화를 도움
내담자가 상담목표를 이루도록 변화의 길로 안내 할 수 있는 역량이다.
- 유능한 상담사의 특성
1. 지속적으로자신을 통찰하여 이해하고 수용한다. 자신의 문제와 고통을 치료한 상담사이다.
2. 내담자를존중하며 개방적인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용기를 복돋아 줄 수 있다.
3. 치료적동맹을 맺고 신뢰관계를 형성한다.
4. 내담자가행동을 자각하도록 돕고, 스스로 유익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5. 내담자가심리사회적 상황에 적응하는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다.
'나를 찾는 여행(메타인지) > 심리상담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상담사 - 대상관계 이론 (0) | 2021.09.06 |
---|---|
상담자의 대화 기술-OARS (0) | 2021.09.02 |
심리상담사 - 상담과 변화 대화 (0) | 2021.09.01 |
심리상담사 - 상담자의 소통기술 (0) | 2021.08.30 |
심리상담사 - 심리상담사의 정체성 (0) | 2021.08.25 |
댓글